산업재해율 증가에 있어 근골격계질환, 뇌심혈관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환에 의한 증가현상이
산업재해율 증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단순반복작업, 중량물 취급
작업,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에 의하여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요통, 경견
완장해 등 근골격계질환은 매년 급증하고 있고, 향후에도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이러한 질환의 예방을 위해 사업장·관련 예방전문기관 및 연구소 등에 인간공학전문가의
배치가 필요하게 되어 산업안전법시행령에 의거 인간공학기사도 2017년 10월부로 보건관리자로
선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인간공학기사 응시자격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1) 기술자격 소지자
가. 동일(유사)분야 기사
나. 산업기사로서 경력 1년 이상
다. 기능사로서 경력 3년 이상
라. 동일종목외 외국자격취득자
2) 관련학과 졸업자
가. 대졸(졸업예정자)
나. 3년제 전문대졸자로서 경력 1년 이상
다. 2년제 전문대졸자로서 경력 2년 이상
라·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마·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자로서 경력 2년 이상
3) 순수경력자
4년 이상 동일, 유사분야 경력자
※ 관련학과 : 산업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관련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농림어업, 환경에너지 등
2. 시험과목
1) 필기 : 인간공학개론, 작업생리학,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관리
2) 실기 : 인간공학실무
3. 검정방법
1)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2) 실기 : 필답형(2시간30분)
4. 합격기준
1)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2)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일반 제조회사를 비롯한 기타 인간공학 관련분야로 진출할 수 있고 자동차산업 등의 사업장과
산업보건 전문기관 등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즉, 안전관리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한
자격증이라고 보면 됩니다.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 가산점이 적용됩니다. 시험은 실기의 난이도가 상당합니다.
실기시험에 합격하였더라도 실기의 합격률이 그다지 높지 않음으로 집중도 있는 학습법을
권장합니다.
'자격증및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회계 운용사 2급 필기 등 자격증 정보 (0) | 2020.01.06 |
---|---|
3d프린터 운용기능사 필기 실기 등 (0) | 2019.12.12 |
방재기사 자격증 알아보자 (0) | 2019.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