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초보은 겉뜻 속뜻 결초보은 비슷한 말 결초보은은 어떤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일까요? 결초보은 겉뜻 속뜻, 결초보은 비슷한 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결초보은(結草報恩) 뜻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말로,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뜻. ② 결초보은 겉뜻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함. ③ 결초보은 속뜻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 1. 각골난망(刻骨難忘) 은혜를 마음속에 깊이 새겨 절대로 잊지 않음. 2. 결초함환(結草銜環)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말로, 은혜를 절대 잊지 않고 갚음. 3. 난망지은(難忘之恩) 절대로 잊을 수 없는 은혜. 4. 난망지택(難忘之澤) 절대로 잊을 수 없는 은혜. 5. 불망지은(不忘之恩) 절대로 잊지 못할 은혜. 6. 백배치은(百拜致恩) 거듭 절을 하면서 입은 은혜를 고마워함. 7. .. 성어속담글 2024. 1. 17. 단합 사자성어 단합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단합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거국일치(擧國一致) 온 국민이 뭉쳐서 하나가 됨. 2. 공존동생(共存同生) 함께 생존하고 서로 더불어 살아 나감. 3. 공생공존(共生共存) 함께 생존하고 서로 더불어 살아 나감. 4. 대동단결(大同團結) 여러 집단이나 사람이 한 가지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한 덩어리로 뭉침. 5. 동심동력(同心同力) 마음을 함께 하여 힘을 합침. 6. 동심합력(同心合力) 마음을 함께 하여 힘을 합침. 7. 동심협력(同心協力) 마음을 함께 하여 서로 도움. 8. 상부상조(相扶相助) 서로서로 도움. 9. 일심동체(一心同體) 마음과 몸이 하나로 모아짐. 10. 일심협력(一心協力) 한마음 한뜻으로 힘을 합하여 도움. 11. 일치협력(一致.. 성어속담글 2024. 1. 6. 아는게 병이다 사자성어 '아는게 병이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그런데 '아는게 병이다'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는 뭘까요? 아는게 병이다 사자성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아는게 병이다'라는 속담과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식자우환'입니다. 식자우환(識字憂患)은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초래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아는게 병이라는 속담과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 ★ 아는게 병이다. 확실하지 않은 지식이 오히려 근심거리가 될 수 있음. ★ 식자우환(識字憂患)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초래할 수 있음. (예) 식자우환이라더니 세상의 이치를 알수록 고민이 더 깊어지는구나. (예) 식자우환이라더니 그는 공부 좀 했다고 퀴즈 대회에 나갔다가 망신만 당했다. ① 반식자우환(半識者憂患)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성어속담글 2023. 12. 31. 삼세지습 지우팔십 뜻 '삼세지습 지우팔십'이라는 한자성어가 있는데요, 삼세지습 지우팔십은 어떤 뜻일까요? 삼세지습 지우팔십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의미입니다. ※ 삼세지습 지우팔십(三歲之習 至于八十)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의 한자성어. (어릴 적에 몸에 밴 버릇은 죽을 때까지도 고치기가 어려우므로, 어릴 때부터 나쁜 버릇이 들지 않도록 잘 배우거나 가르쳐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음) 삼세지습 지우팔십(三歲之習 至于八十)의 개별 한자의 뜻은 (三 : 석 삼) (歲 : 해 세) (之 : 갈 지) (習 : 익힐 습) (至 : 이를 지) (于 : 어조사 우) (八 : 여덟 팔) (十 : 열 십)입니다. '삼세지습 지우팔십'과 의미가 유사한 한자성어로는 '강산역개 병성난이(江山易改 秉性难.. 성어속담글 2023. 12. 11. 욕심 사자성어 욕심이 과하다 사자성어 욕심에 관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욕심 사자성어, 욕심이 과하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과유불급(過猶不及) 욕심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화가 될 수 있음. 2. 과욕초화(過慾招禍) 지나친 욕심은 재앙을 초래함. 3. 과욕필망(過慾必亡) 욕심이 지나치면 스스로 화를 부르게 됨. 4. 과욕불급(過慾不及) 욕심이 지나치면 오히려 화가 될 수 있음. 5. 계학지욕(谿壑之慾) 한이 없고 끝이 없는 욕심. 6. 득롱망촉(得隴望蜀)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음. 7. 대욕비도(大慾非道) 욕심이 많고 무자비함. 8. 망촉지탄(望蜀之歎)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음. 9. 무염지욕(無厭之慾) 만족할 줄 모르는 끝없는 욕심. 10. 소탐대실(小貪大失) 욕심이 지나쳐 눈앞의 작은 이익마져도 탐하다가 오.. 성어속담글 2023. 11. 30. 역지사지(易地思之) 뜻 역지사지 한자 '역지사지'라는 한자성어가 있는데요, 역지사지(易地思之)는 무슨 뜻일까요? 역지사지(易地思之) 뜻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남과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여 본다는 뜻입니다. 즉, 남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는 뜻입니다. (예) 서로가 역지사지한다면 이번과 같은 다툼은 없었을 것이다. (예) 서로가 역지사지해 본다면 불신을 없애고 합의점을 찾을 수 있다. (예) 이 일은 역지사지로 상대편의 주장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남을 입장을 이해하여 준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신뢰를 받을 것이다. ※ 남의 어려움과 고통을 이해하고 남에게 도움을 주려면 남과 처지를 바꾸어 남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보아야 하는데요, 즉, 역지사지를 해야 하는데요,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남을 생각한다면 주위 .. 성어속담글 2023. 11. 2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