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저기 옥와광고나 매체광고에서 아마 많이 접하셨을 제로페이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제로페이는 QR코드를 활용한 모바일 간편결제 입니다.
취지는 상당히 좋습니다. 경제적 약자의 입장에서의 사상이 묻어나서
개인적으로 좋습니다.
아직 이 간편결제 앱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편리성 등에 대해서는 더욱 개선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는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봅니다.
미리 알고 있어야 소비자, 소상공인 입장에서 때가 무르익으면 즉, 편리성(효용성)이
대폭 개선될 때 적시에 활용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이런 차원에서 포스팅 합니다.
그럼 경제적 약자의 입장에서 어떤 점이 좋은 취지인지 보겠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소득공제율이 40% 입니다. 다른 결제 수단에 비해 월등합니다.
소상공인이 부담하는 결제 수수료는 8억원 이하는 0%,
8억 ~ 12억은 0.3%, 12억 초과는 0.5%의 수수료가 부담됩니다.
결제방법은
1)구매 2) 스마트폰 앱 실행 3) QR코드 인식 4)계좌이체
와 같은 플로우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을 본질적 해석해보면
QR코드라는 매게체로 소비자와 판매자 사이의 직접적인 현금의 계좌이체라고
보면 됩니다.
별도의 제로페이 앱이 있는 건 아닙니다. 참여 중인 은행의 모바일 뱅킹 앱에
제로페이 결제가 가능하게 있습니다. 저는 오늘 하나은행 앱을 업데이트하니
제로페이로 결제할 수 있게 보이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참여사와 사용 어플을 보면,
제로페이의 이름을 다르게 쓰고 있는 회사도 있습니다. (괄호참조)
시중은행
한국산업은행 : BANKPAY
NH농협은행 : NH앱캐시
신한은행 : 신한 SOL (SOL페이)
우리은행 : 우리은행 원터치개인 (우리제로페이)
SC제일은행 : BANKPAY
◦KEB하나은행 : BANKPAY
중소기업은행 : 기업은행 i-ONE뱅크 (뱅크페이)
국민은행 : Liiv (리브뱅크페이)
수협은행 : 수협파트너뱅크 개인
대구은행 : iM뱅크 (DGB제로페이)
부산은행 : 썸뱅크
광주은행 : BANKPAY
제주은행 : BANKPAY
전북은행 : BANKPAY
경남은행 : 경남은행 투유뱅크개인
케이뱅크 : 케이뱅크 (케이뱅크 페이)
우정사업본부 : BANKPAY
신용협동조합 : BANKPAY
핀테크 기업
네이버 :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 QR결제)
페이코 : 페이코
하나카드 : 하나멤버스
머니트리 : 머니트리
신세계페이먼츠 : SSG PAY
이외 여러 글들을 보면, 제로페이에 대한 많은 얘기들과 의견들이 있습니다.
시간이 되시면 참조하시면 좋으나. 저의 극히 개인적 입장은 그 취지가 좋다면
예의 주시하면서 좋아지길 기다리면서 활용을 할 때를 기다리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아주 사소한 준비라도 하면 어떨까요?
본인의 모바일뱅킹앱에 제로페이가 보이지 않는다면 지금 바로 업데이트하고
확인 한번 해봅시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39세이하 청년주목! 예비창업패키지 (0) | 2019.04.17 |
---|---|
창업준비자 필독! 예비창업자 사전보증 제도 확인 (0) | 2019.04.15 |
세액공제 (자녀, 연금계좌, 특별세액 공제 등) (0) | 2019.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