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8대 전문직의 연봉과 시험난이도를 알아보겠습니다. 8대 전문직으로는 변호사, 변리사, 법무사, 세무사, 노무사, 감정평가사, 관세사, 회계사 가 있습니다. 모두 정말 공부를 열심히 하여 이 중 하나를 취득한 분들은 정말 많은 노력을 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먼저 8대 전문직의 연봉을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8대 전문직 연봉 (중간 정도 수준의 어바웃 금액)
1위 변호사 8,500만원
2위 회계사 7,200만원
3위 감정평가사 6,300만원
4위 변리사 6,100만원
5위 세무사 5,600만원
6위 법무사 5,300만원
7위 관세사 4,900만원
8위 노무사 4,800만원
이 연봉은 참조자료 정도로만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연봉이란 해당 전문직의 실적 정도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습니다. 이 보다 더 많이 벌수도 있고 더 적게 벌수도 있습니다.
만약 시험 준비를 고민하시는 분들이라면 본인의 성향을 잘 생각해보고 결정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즘 같이 평생직장의 개념이 점점 약해지고 있는 시절에 자격증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경쟁력이고 이 경쟁력을 가지고 평생 벌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연봉의 통계만으로 무엇을 할 지 판단할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학습에 지치지 않으려면 본인에게 맞는 자격증을 먼저 고민하고 준비를 하는게 좋다는 것을 강조 드리고 싶습니다.
2. 8대 전문직 난이도
8대 전문직의 난이도는 솔직히 한마디로 고시 수준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위 자격시험이 모두 1차, 2차 시험까지 거쳐서 합격을 해야 하는데 특히 2차가 주관식으로서 팩트를 기반으로 한 논리의 전개가 만만치는 않습니다. 위 8개 중에 이 자격증이 난이도가 제일 높고 이 자격증이 난이도가 제일 낮다는 말은 사실 의미가 없습니다. 보통 1차 합격을 하고도 2차에서 많이 떨어져 다시 준비하는 분들이 더 많으면 많지 적지는 않습니다. 역설적으로 그만큼 난이도가 8대 전문직은 높다는 의미 입니다.
연봉 부분에서도 언급했듯이 자신의 성향에 맞는가도 영향을 미치고 본인의 전공이나 경력도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평균 이상의 학습을 한 경영학 전공자가 회계사를 준비하면 다른 전공자 분들보다는 난이도가 낮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경영학 전공자가 변호사를 준비한다면 난이도는 상당히 있다고 봐야 하는 것입니다.
무엇을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는 본인의 경쟁력이라는 요소적 접근을 충분히 생각하고 선택해야 합니다. 저는 자격증 정보를 확인하고 많은 사람들을 인터뷰 해봤지만, 역시 자신의 전공과 경력에 맞추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공자라도 자신의 성향을 고려시 안맞는다면 이 때 선택의 고민이 많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전공을 선택할 때 희망한 것이고 이는 대학 다니면서 결정이 많이 납니다. 전공자이면서 성향이 맞다고 생각하시면 자신에 맞는 자격증을 선택하여 도전해 보는 것은 나쁘지는 않습니다.
위 8대 전문직 중 5개 국가전문자격증에 대한 상세정보는 아래 저의 이전 포스팅에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해당 포스팅은 단순 참조용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자격증및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기능사 취업 필기 실기 시험과목 요약 정리 (0) | 2019.11.18 |
---|---|
9급공무원 월급 실수령액 얼마나 될까? (0) | 2019.11.11 |
2022년 9급공무원 시험과목 개편 내용 알아보자 (0) | 2019.11.06 |
댓글